목록전체 글 (376)
개발자입니다

Data를 메모리에 저장 데이터를 2진수로 변환할 수 있다면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2진수로 변환하려면 규칙이 있어야 한다. 여기서 데이터란 정수, 실수, 문자, 그림, 동영상, 소리, 빛, 냄새(냄새의 2진수 규칙 없음) Data → 2진수 변환 규칙 정수 ① Sign-Magnitude (부호-절대값) 양수와 음수는 부호만 다르고 값은 같다(부동 소수점의 가수부를 표현할때 사용). 8비트의 맨 앞은 부호비트 이다. - 일때는 맨 앞은 1이 된다. 이 방식의 문제점은 빼기 연산 결과가 일반적이지 않다. 해결을 위해 - 연산 기능을 첨가시켜야 했고 CPU가 커지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Sign-Magnitude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다. ② 1's Complement (1의 보수) 보수 : 특정 숫자가 1..

HTML 예제 소스 받기 HTML의 등장 ① HTTP, HTML 등장 전 논문에서 참고 문헌을 기록할때 달리 연결하는 것이 없었다. ② HTTP, HTML 등장 논문에서 참고 문헌을 기록하고 연결하는 방법이 등장했다. HTML을 화면에 표현해 주는 최초의 브라우저인 Mosaic이 등장했다. 참고 만화 : https://joone.net/2021/01/02/37-%EC%9B%94%EB%93%9C%EC%99%80%EC%9D%B4%EB%93%9C%EC%9B%B9www%EC%9D%98-%EC%8B%9C%EC%9E%91-1/ HTTP Client / Server App Web Server를 개발자는 HTTP Server라 한다. Web 기술의 활용 ① 1세대 : 논문 공유 ② 2세대 : 홈페이지(회사 소개, 제품..

리눅스 명령어 file 파일의 유형을 알려준다. [vagrant@host1 bitcamp-ncp]$ file .gitignore .gitignore: ASCII text less 내용물을 보는데 한 페이지만 확인한다. 스페이스 바 누르면 다음 페이지로 넘어간다. [vagrant@host1 bitcamp-ncp]$ less .gitignore touch 파일을 생성한다. [vagrant@host1 tmp]$ touch hello.txt 파일 권한 ls -al에서 나오는 권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drwxrwxr-x d rwx rwx r-x 디렉토리 여부 소유주 권한 소유주 소속 그룹 권한 소유주와 상관없는 사람의 권한 폴더가 파일을 직접 담는게 아니라 다른 파일의 링크 정보를 담는다. 폴더의 크기는 파일 ..

실습 진행 과정 (host1만 설명(host2, 3 동일)) 1) 폴더 생성 : C:\User\bitcamp\vm-projects 내 host1-vm 디렉토리 생성 및 이동 : mkdir host1-vm, cd host1-vm 2) host1-vm 폴더로 이동 : cd host1-vm 3) vagrant init 설정 : vagrant init "centos/7" 4) VSCode에서 Vagrantfile에 config.vm.hostname = "host1.bitcamp"로 수정 후 저장 5) 가상머신 가동 : vagrant up 6) 리눅스 접속 : vagrant ssh 7) 디렉토리 생성 및 이동 : mkdir git, cd git 8) git 설치 : sudo yum install git -y 9)..

git이란? git : 버전관리 시스템. 소스의 변경을 관리. Cofiguration Management System(형상관리시스템) program : 계획, 과정. 컴퓨터가 해야할 일을 계획하는 것 아래와 같은 순서로 명령어가 CPU에 전달된다. 명령어(소스) -(번역 : 컴파일)-> 기계어 -> OS -> CPU CVS → SVN → git |중앙집중관리| |분산관리| 서버의 파일을 직접 편집하는 것이 CVS, SVN. 그러나 단점은 서버의 소스코드가 날아가면 끝이다. ① 변경된 내용을 다운로드 : git fetch ② 다운받은 내용을 기존 파일에 합친다 : git merge 위 두 가지를 한번에 하는 명령어 : git pull Repo.: 소스파일 + 변경내력 리눅스 설치 리눅스 개념 Linux →..

Markdown이란? 일반 텍스트 문서의 양식을 편집하는 문법이다. README 파일 등을 편집할 때 쓰인다. 마크다운으로 작성된 문서는 쉽게 HTML 등으로 변환 가능하다. Markdown 사용법 1) 제목 태그 먼저 h태그는 #의 개수별로 크기가 결정됩니다. # h1태그입니다. # ## h2 태그입니다. ## ### h3 태그입니다. ### #### h4 태그입니다. #### ##### h5 태그입니다. ##### ###### h6 태그입니다. ###### 2) 코드 블럭 코드 블럭을 입력은 tab으로 합니다. 코드 블럭입니다. tab한코드 블럭입니다. 또는 '''를 입력하면 코드블럭이 입력됩니다. ``` 두 줄 이상의 코드블럭입니다. ``` 문법이 있는 언어를 코드블럭에 넣으려면 ''' 뒤에 언어를..